돈 버는 방법

당신은 온갖 일을 해서 1억 원을 벌었다.
이것을 모을 때 들어간 합은 총 100이다.
하지만 10억 원을 벌기 위해서 1000이 필요하지 않다.
처음엔 100이 필요했지만 2번째엔 90, 3번째엔 80, 나중 가서는 10~20 정도가 안 돼서 저렇게 벌 수 있다.

금전이란 인격체다.
큰 금전은 어른.
작은 금전은 어린애다.

금전은 감정이 있고 생각을 하며 장소를 가린다.
금전은 헤어지는 것을 꺼리며 모이는 걸 좋아하고 몰려다닌다.
작은 걸 함부로 낭비하면 큰 것이 모이지 않는다.
금전을 별다른 이유 없이 낭비하면 안 되는 것이다.
사치, 도박, 술집, 향락 등에 낭비 시 금전은 당신을 떠난다.

금전은 돌고 돈다.
좋은 곳에 투자하면 내게 다시 돌아온다.
작은 것은 착실히 모으고 큰 건 필요할 때 제대로 보내주자.

금전은 일정성이 있다.
일정하게 벌어들이는 게 불규칙적으로 버는 것보다 힘이 더 강하다.
금전을 일정하게 벌어들이는 게 한 번에 버는 것보다 낫다.
매달 100만 원 벌이 하는 사람이 어느 날 하루 천만 원 버는 것보다 힘이 강하다.
비는 일정하게 내려야 좋은 것이다.
한꺼번에 내리면 홍수가 일어난다.
일정한 건 조직화 돼 있고 그것이 다른 걸 이긴다.

금전은 고생해서 벌은 게 공짜로 얻은 것보다 힘이 강하다.
금전을 어찌 벌었는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고생해서 금전을 벌어들인 것이 100kg 정도라면 누군가가 준 것은 1~2kg 정도다.
예로 복권, 사업, 유산, 땅값 등이다.

성공은 혼자만의 것이 아니다.
한 사람이 성공하기까지 많은 이의 슬픔, 고생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몰려다녀서 그렇다.
성공은 많은 슬픔을 깔고 있으며 가시방석이나 다름없다.
성공한 이들 중에서 대다수가 이런 실수를 많이 한다.
성공하기 전 이런 원리에 대해 알아야 한다.
안 그러면 다시 밑바닥 생활을 경험해야 돼서 그렇다.

금전을 대하는 태도.
남의 금전을 대하는 태도가 내가 금전을 대하는 태도다.
예로 친구들이 회비를 모았다고 치자.
그걸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 내 것도 그렇게 여기게 된다.
내가 뭔가 사줄 때 금전이 까나가는 게 신경 쓰이지만 친구가 뭔가 사줄 때 신경이 안 쓰였다면 그것은 좋지 않다.
그게 공공자산이라도 미국의 사업가들이 주식회사 방식으로 운영할 때 지분만큼 다른 사람의 것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사적, 공적인 구분이 명확하다.

수각 이론

수각은 물을 받는 돌이다.
이곳에 흘러간 물을 모아두고 일부를 내보낸 뒤 물을 다시 모아둔다.
이걸 잘 쓰지 못하면 개각이 사라진다.
이것은 돌그릇의 크기가 줄어들어서 금전이 모이지 않는 현상을 뜻한다.
내 안의 수각을 키우면 부자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