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국제결혼 사례 급증한 이유

"한국과 일본 둘 다 결혼, 출산율 감소란 공통된 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결혼을 통한 민간 교류를 지속하기 위해선 양국의 안정적인 정치, 외교 관계. 이것을 유지하는 게 필수다." - 닛케이

일본의 니혼게이자신문, 닛케이.

이들이 지난 13일.

한국의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혼인, 이혼 통계.

이것을 인용해 이렇게 전했다.

"최근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이 결혼한 사례가 급격히 늘어난 실정이다."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혼인 건수.

이건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한 1176건으로 집계.

지난 10년 동안 최고 수치를 기록.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

이들의 혼인 건수는 147건.

10년 전보다 5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한국의 전체 혼인 건수는 10년 전보다 30% 감소했다.

하지만 국제결혼 건수는 오히려 증가한 실정이다.

전체 혼인의 10% 차지를 해서 그렇다.

지난 팬데믹 당시 일본인과의 혼인은 13% 이상 늘어났다.

닛케이 측에 따르면 한류 영향으로 인해 양국의 남녀 문화적 장벽이 허물어졌다고 한다.

지난 2003 연도.

드라마 겨울 연가 이후 일본에서 한류에 관한 관심이 커졌다.

온라인을 통해 교류가 확대되고 자연스럽게 만남으로 이어졌다.

한편 일부는 한국에서 지내는 일본인 여성 30~40% 정도가 경제적 이유보단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

개인적인 삶의 의미를 찾아서 자발적으로 한국에 이주한 것으로 본다.

이어서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의 혼인 감소.

이건 국제결혼 패턴의 변화에 따른 걸로 풀이된다.

지난 1970~80년대.

일본 경제 성장, 농촌 인력 부족 문제로 한국 여성이 일본에 이주했다.

최근 들어선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

일본 여성이 한국에 이주한 현상이 늘어났다.

또한 한국의 1인당 GDP가 일본을 넘어섰다.

양국의 소득 격차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친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