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한반도 영향
일본 남쪽 해역에 있는 난카이.
이곳에서 대지진이 발생 시 일본에 이어 한반도.
이곳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관련 내용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7월 난카이 대지진설.
이것이 확산하는 중이다.
이 지진이 실제 발생한 경우 한반도는 30cm 이상 흔들린다.
또한 고층 건물이 위험해진다.
이런 식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그는 지난 3일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
이런 입장을 보였다.
만약 난카이 해구.
이곳에서 규모 8.0 이르는 지진이 일어나면 1000km 안에 있는 한반도 전역.
고층 건물이 영향받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지진.
이로 인해 1000km 밖에 있는 태국 방콕의 고층 건물이 무너지기도 했다.
이것과 비슷한 일이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단 것이다.
지진 규모가 커지면 저주파 에너지가 많이 나온다.
이것은 1000km 이상을 가도 에너지가 줄지 않는다.
건물이 높을수록 이 저주파 에너지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난카이 해곡 마지막 지진인 지난 1944년, 1946년 지진.
이때는 한국에 고층 건물이 없었다.
만약 9.0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한반도가 30cm 이상 흔들린다.
난카이 해곡
이곳은 일본 시즈와현 앞바다랑 규슈 앞바다까지 800km 이르는 지역을 뜻한다.
여기에서 100~150년 주기 규모 7~8 대지진이 발생한다.
마지막이 앞서 말한 연도다.
도쿄 앞바다 지역, 규슈 앞바다 지역.
이것은 대지진이 발생한 지 100년이 넘었다.
특히 규슈 앞바다 지역은 거의 300년 이상이다.
많은 응력이 쌓였다.
저 지역에서 지진이 곧 일어나겠단 생각을 한 것이다.
난카이 해곡에서 큰 지진이 날 것이란 얘기.
이건 내가 대학원생 때부터 들은 얘기다.
그때는 향후 30년 이내가 50% 확률이다.
지금 들어선 80% 이상으로 올라갔다.
언제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인데 예언서까지 나왔다.
이에 우려가 더 증폭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 도카라 열도에선 현재 천 번이 넘는 다수의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한편 아무리 판의 경계부라고 해도 한 자리.
저곳에서 집중적으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짧은 시간.
연이어 일어나는 것은 정말 이례적이란 입장이다.